728x90
반응형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ecgueH/btrLmyiQimn/kKaXqflWK3X3KCOuxfy0D1/img.jpg)
함수
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기능을 만들어 내기 위한 코드들의 집합.
함수의 종류로는 선언적, 익명, 매개변수, 리턴값 함수가 있습니다.
01. 선언적 함수
일반적인 방식. 함수를 선언할 때 이름을 붙여주는 함수를 말합니다.
function func(){
document.write("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.1");
}
func();
결과보기
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.1
02. 익명 함수
코드명에 함수코드를 저장하는 방식
const func = function(){
document.write("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.2");
}
func();
결과보기
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.2
03. 매개변수 함수
호출할 때 인수로 전달된 값을 함수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변수. 함수의 인수(argument)는 함수가 호출될 때 함수로 값을 전달해주는 변수를 가리킵니다.
function func(str){
document.write(str);
}
func("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.3");
결과보기
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.3
04. 리턴값 함수
함수가 어떠한 기능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호출한 곳으로 돌려주는 값을 말합니다. 함수가 기능을 수행하고 돌려줄 값이 있으면 return 명령을 사용합니다.
function func(){
const str = "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.4";
return str;
}
document.write(func());
결과보기
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.4
05. 화살표 함수 : 선언적 함수
ECMAscript6(es6)때 추가된 화살표 함수'==>'는 함수의 표현 방식을 좀 더 간단히 표현합니다.
func = () => document.write("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.5");
func();
결과보기
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.5
06. 화살표 함수 : 익명 함수
화살표 함수는 함수의 표현 방식을 좀 더 간단히 표현합니다.
const func = () => document.write("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.6");
func();
결과보기
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.6
07. 화살표 함수 : 매개변수 함수
화살표 함수는 함수의 표현 방식을 좀 더 간단히 표현합니다.
func = str => document.write(str);
func("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.7");
결과보기
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.7
08. 화살표 함수 : 리턴값 함수
화살표 함수는 함수의 표현 방식을 좀 더 간단히 표현합니다.
func = () => {
const str = "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.8";
return str;
}
document.write(func());
결과보기
함수가 실행되었습니다.8
728x90
반응형
'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Script 요소 선택 (5) | 2022.08.05 |
---|---|
JavaScript 전역변수/지역변수 (4) | 2022.07.28 |
JavaScript 조건문 (8) | 2022.07.26 |
JavaScript 반복문 (7) | 2022.07.25 |
JavaScript 데이터 타입 (7) | 2022.07.25 |